클라우드서비스관리 8

Docker 소개

도커는 하나의 프로그램과 운영 체제를 쉽게 공유 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예시를 들어 설명하자면 당신이 개발자에게 돈을 주고 어느 프로그램을 개발해달라고 요청했다고 가정해보자.그렇게 완성된 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추후 수정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 할수 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파일들만 받는 다고 해서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다.실제로 컴퓨터에 작업환경이 구축되어 있어야 하고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라이브러리나 패키지가 임포팅 해야 한다.그런 작업은 번거롭고 비전문가가 실수를 벌이기 쉽다.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 바로 도커이다.  리눅스 커널에서 사용 가능한 도커는 이미지 파일을 통해 한번에 파일과 라이브러리를 옮길 수 있다.

AWS 클라우드 수업 12주차

CRUD (생성, 읽기 , 수정 , 삭제) 기능을 통해 간단한 웹사이트 기능을 확장했다.단순히 게시글 작성, 회원가입뿐 아니라 실제로 다른 유저에게 메세지를 전송하는 기능과 본인 정보 수정이 가능해진 것이다.이것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유는 RDS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읽고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접속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면 해당 기능은 원할하게 돌아간다. 정보 수정전 제약조건들을 잘 고려해야한다. 예시) 비밀번호 변경 기능의 경우, 로그인과 함께 비밀번호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고 보안에 신경써야 한다.

4주차 클라우드 제공 모델

1,퍼블릭 : 우리가 아는 일반적이 모델 2.프라이빗 : 기업등 '보안'을 위해 만든 인트라넷 비슷한 개념. 자체적으로 모딩이 가능하며 전용환경이다. 전문 인력 필요 3.커뮤니티 : 프라이빗에서 특정부분만 공유가능, 기업간 협업하기 위해 존재. 이것또한 보안 구분이 철저하다. 4.하이브리드: 다른 종류 2개 이상 사용. 대표적 예 퍼블릭(용량,서비스) + 프라이빗(안정,주요 데이터) . 5.멀티 : 동일 종류 2개 이상 의존도 경감 리전=데이터 센터. 리전마다 가용 영역(az) 여러 개 이상 존재하며 가용영역은 고속통신망으로 연

2주차 과제

클라우드란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다. 컴퓨터의 사양도 신경쓰지 않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타인과 협업이 가능하다. 클라우드 서비스 IaaS : 하드웨어 기능을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cpu나 메모리 PasS : 운영체제나 개발이나 분석도구를 제공해준다. db나 lamba SaaS : 아예 서비스를 제공 메일이나 줌 마소 365가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특징* 접속용이 유연성 - 추가 설치없이 사용가능 주문형 셀프서비스 - 원하는 기능만 제공받을 수 있다. *가상화와 분산처리 - 하나의 서버를 여러개로 분산하거나 여러 컴퓨터를 하나로 묶어 사용 가능하다. 사용량 기반 요금제 - 종량 *왜 클라우드인가* 탄력성 확장성 민청성 장점 자원효율성 증가 운영 효율성 좋음 단점 복잡한 시스..